티스토리 뷰
🌿 [사주명리학 심화] 지장간과 지지 — 사주를 꿰뚫는 숨은 기운의 구조
사주명리를 깊이 공부하다 보면 지지(地支) 만으로는 보이지 않는 기운이 있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
바로 그 안에 숨은 지장간(地藏干) 이지요.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숨어 있는 천간의 기운으로, 지지 간의 관계를 해석하는 핵심 열쇠입니다.
지지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겉으로 드러난 오행뿐 아니라 그 안에 감춰진 지장간의 조합을 반드시 함께 봐야 합니다.
1️⃣ 지장간의 구조와 역할
하나의 지지는 보통 초기(여기)–중기–정기(본기) 로 구성됩니다.
이 중 정기(본기) 의 오행이 지지 자체의 본질을 결정하지요.
예를 들어, 인목(寅) 의 정기는 갑목(甲木) 이므로, 인목은 봄의 목기운을 대표합니다.
지장간의 조합은 계절의 흐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생지(生地) — 계절을 여는 기운
☀️ 왕지(旺地) — 계절의 중심을 이루는 기운
🍂 고지(庫地) — 계절을 마무리하고 저장하는 기운
예시 구성 — 12지(子~亥) 와 지장간 구조(초기·중기·정기)

2️⃣ 생지(生地) — 계절의 시작을 여는 문
생지는 다음 네 개의 지지로 구성됩니다.
인목(寅) · 사화(巳) · 신금(申) · 해수(亥)
이들은 계절의 ‘시작점’에 해당하며, 다음 계절의 기운을 품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힘을 가집니다.
즉, 변화와 추진력, 그리고 ‘미래지향성’이 강한 지지입니다.
|
지지
|
초기
|
중기
|
정기
|
특징
|
|
인목(寅)
|
무토
|
병화
|
갑목
|
봄을 열며 여름(화)을 향함
|
|
사화(巳)
|
무토
|
경금
|
병화
|
여름을 열며 가을(금)을 향함
|
|
신금(申)
|
무토
|
임수
|
경금
|
가을을 열며 겨울(수)을 향함
|
|
해수(亥)
|
무토
|
갑목
|
임수
|
겨울을 열며 봄(목)을 향함
|
📌 공통점:
- 지장간이 모두 양간(陽干)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 중기에 다음 계절의 기운을 품고 있어 강한 추진력과 개척 정신을 가집니다.
생지(寅申巳亥)(인신사해)

3️⃣ 왕지(旺地) — 계절의 정점, 가장 강한 힘
왕지는 계절의 중심에 자리한 지지로,
자수(子) · 묘목(卯) · 오화(午) · 유금(酉)
이 시기에는 해당 계절의 오행이 절정에 달합니다.
따라서 정기의 힘이 100% 로 작용하며, 음의 기운이 실제적으로 주도권을 가집니다.
|
지지
|
초기
|
중기
|
정기
|
작용 비율
|
|
자수(子)
|
임수
|
-
|
계수
|
계수(陰水)가 100%
|
|
묘목(卯)
|
갑목
|
-
|
을목
|
을목(陰木)이 100%
|
|
오화(午)
|
병화
|
기토
|
정화
|
정화(陰火)가 100%
|
|
유금(酉)
|
경금
|
-
|
신금
|
신금(陰金)이 100%
|
📌 공통점:
- 정기가 모두 음간(陰干)
- 계절의 기운이 가장 안정적이며 완성된 형태
- 특히 오화(午)는 토의 중재 기운을 일부 포함해 균형을 잡음
왕지(子卯午酉)(자오묘유)

4️⃣ 고지(庫地) — 계절을 마무리하고 저장하는 창고
고지는
축토(丑) · 진토(辰) · 미토(未) · 술토(戌)
로 구성됩니다.
이들은 계절의 마지막을 담당하며, 지난 계절의 기운을 저장하고 다음 계절을 준비하는 ‘중재자’ 역할을 합니다.
|
지지
|
초기
|
중기
|
정기
|
주요 성격
|
|
축토(丑)
|
계수
|
신금
|
기토
|
정기 50% 이상 — 저장·중재
|
|
진토(辰)
|
을목
|
계수
|
무토
|
정기 50% 이상 — 습토 성격
|
|
미토(未)
|
정화
|
을목
|
기토
|
정기 50% 이상 — 갈등·조율
|
|
술토(戌)
|
신금
|
정화
|
무토
|
정기 50% 이상 — 과거의 극, 정화와 갈등
|
📌 공통점:
- 정기는 모두 토(土)
- 초기에 현재 계절의 기운, 중기에 이전 계절의 기운을 담음
- 과거와 현재를 잇는 다리, 안정·중재·저장 역할
고지(丑辰未戌)(진술축미)

5️⃣ 지장간 비율로 본 작용의 실제
고전 명리학에서는 지장간의 작용 비율을 일수(日數) 로 계산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진토(辰) = 을목 30% · 계수 10% · 무토 60%
그러나 실제 명리학적 작용에서는
- 왕지의 정기(子, 卯, 午, 酉)는 100%
- 고지의 정기(丑, 辰, 未, 戌)는 50% 이상
- 으로 작용합니다.
즉, 지장간의 수치보다 실제 흐름과 작용의 비중을 중심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왕지=100%, 고지=50% 이상, 생지=미래지향

🌟 마무리
지장간은 단순히 ‘지지 안의 숨은 천간’이 아닙니다.
그것은 사주의 에너지 흐름을 연결하고 조율하는 설계도입니다.
지지의 성격을 정확히 해석하려면, 그 속의 지장간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반드시 함께 살펴야 합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사주의 복잡한 구조도 한눈에 꿰뚫을 수 있을 거예요 🌿
💡추천 태그
#지장간 #지지 #사주명리 #오행이론 #명리학공부 #생지왕지고지 #지장간표 #사주심화 #지지해석 #명리학핵심
'너와나의관심사 >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주명리학 심화] 천간과 지지의 관계 완벽 해설 — 상생·상극·간지 암합 한눈에 보기 (0) | 2025.11.17 |
|---|---|
| [사주명리학 심화] 지지 상호작용 완전정복|방합·삼합·육합·형충파해로 읽는 사주명리의 핵심 원리 (0) | 2025.11.17 |
| [사주명리학 심화] 천간 10개의 성질과 천간의 합(合)과 극(剋) (0) | 2025.11.17 |
| 인성 과다·부족 사주, 재성으로 단번에 균형잡는 실전법 (0) | 2025.11.08 |
| 관성 많은 사주 vs 부족한 사주 — 성향·관계·실전 보완법 바로보기 (0) | 2025.11.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