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2024년 12월 29일)
- 사고 개요: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하던 제주항공 2216편이 활주로를 이탈하여 울타리 외벽에 충돌한 후 폭발하였습니다.
- 피해 규모: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고, 2명이 생존하였습니다.
- bbc.com
- https://www.youtube.com/watch?v=ZZz70KD_MNk
사고의 원인은 버드 스트라이크나 기체결함 등등이 꼽히고 있지만, 대량 사상자가 나온 이유는 동체착륙 성공 후 마지막에 철근 공구리 콘크리트 흙 둔덕에 충돌하여 기체가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uSSkJXPbJI
2.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 (2025년 1월 28일)
- 사고 개요: 설 연휴 중 홍콩으로 향하던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 피해 규모: 탑승자 176명 전원이 비상 탈출에 성공하여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
- biz.heraldcorp.com
- https://www.youtube.com/watch?v=YdpeYuFpYXc
3. 워싱턴 D.C. 여객기와 군용 헬기 충돌 사고 (2025년 1월 29일)
- 사고 개요: 미국 워싱턴 D.C. 인근 로널드 레이건 공항 근처에서 아메리칸항공 소속 여객기와 미 육군 블랙호크 헬기가 공중에서 충돌하여 포토맥 강으로 추락하였습니다.
- 피해 규모: 두 항공기에 탑승한 67명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한국계 피겨스케이팅 선수와 그 가족 등 한인 희생자 4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bbc.com
- https://www.youtube.com/watch?v=z6-Kig0eQgs
이러한 연이은 항공기 사고로 인해 항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항공 당국과 관련 기관은 사고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 및 항공기 사고 시 승객들이 알아두어야할 안전 수칙엔 뭐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항공기 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
항공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습니다:
- 안전 관리 시스템(SMS) 도입: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운영하여 사고를 예방합니다.
- kiast.or.kr
- 정기적인 안전 점검: 항공기와 관련 시설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제거합니다.
- 조종사 및 승무원 교육 강화: 조종사와 승무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조류 충돌 방지 대책: 공항 주변의 조류 서식지 관리 및 조류 탐지 시스템을 활용하여 조류 충돌을 예방합니다.
2. 항공기 사고 시 승객들이 알아두어야 할 안전 수칙
항공기 사고 발생 시 승객들이 취해야 할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전벨트 착용: 비행 중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예상치 못한 기류 변화에 대비합니다.
- skyscanner.co.kr
- 비상구 위치 확인: 탑승 시 가장 가까운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하고, 비상 시 대피 경로를 숙지합니다.
- 승무원 지시 준수: 비상 상황에서는 승무원의 지시에 따라 침착하게 행동합니다.
- 개인 수하물 포기: 비상 탈출 시 개인 짐을 가져가려다 탈출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모든 수하물을 두고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 hankookilbo.com
- 충격 방지 자세 취하기: 비상 착륙 시 머리를 숙이고 손으로 머리를 감싸는 등 충격을 최소화하는 자세를 취합니다.
항공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습니다. 주요 예방 조치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안전 관리 시스템(SMS) 도입 및 운영
항공사, 정비조직, 공항운영자 등 서비스 제공자들은 **안전 관리 시스템(SMS, Safet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여 자체적인 안전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위해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위험을 관리하여 사고를 예방합니다.
2. 정기적인 안전 점검 및 감독
항공 당국은 운항증명과 정비조직인증을 발급한 이후, 항공사들이 안전 운항 체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 상시 감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발견된 문제점을 시정하도록 지시하여 항공기 안전 운항을 확보합니다.
3. 사고 예방 장치의 도입
항공기에는 충돌 방지 시스템(TCAS), 지상 접근 경보 시스템(GPWS), 비행 데이터 기록 장치(FDR), 조종석 음성 기록 장치(CVR) 등 다양한 사고 예방 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장치들은 잠재적인 위험을 감지하고 조종사에게 경고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조종사 및 승무원 교육 강화
조종사와 승무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안전 절차와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인적 오류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 항공기 사고 대응 종합 훈련 실시
국토교통부는 대규모 행사를 대비하여 항공기 사고 대응 종합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국민들이 안심하고 항공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항공기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한 항공 운항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론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관리 시스템이 철저하게 지켜져야할 것 같습니다.
'너와나의관심사 >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초등생 하늘이 피살사건의 전말과 이유 및 학교 내 갈등 개선방안 (0) | 2025.02.12 |
---|---|
2024년 창업주를 위한 국가과제 리스트 (1) | 2024.12.22 |
2024년 청년 지원 정책 모음 (2) | 2024.12.22 |